DNS
국내 개발자 커뮤니티에 자바 개발자가 알아야할 DNS라는 지식을 공유했던 것을 이어서 DNS 실전 교과서라는 책을 읽어보고 조금 더 DNS에 대한 정보를 찾아서 정리해볼까 합니다. GeekNews 에 공유된 DNS 학습이 왜 여전히 어려운가요?라는 글처럼 웹 개발자로써 DNS에 대해서 무엇을 어디까지 알고 있어야 하는지 알기 어려운 것 같습니다.
DNS 조회 실패로 인한 IP 주소 확인 불가
SdkClientException: Received an UnknownHostException when attempting to interact with a service.
See cause for the exact endpoint that is failing to resolve.
If this is happening on an endpoint that previously worked,
there may be a network connectivity issue or your DNS cache could be storing endpoints for too long.
Amazon SQS에 대한 DNS 캐시가 초기화되는 시점에 사내 네트워크 사용량의 과부하로 인하여사내 라우터를 통한 DNS 조회를 할 수 없어서 SQS에 대한 엔드포인트 주소를 알 수 없는 이슈가 발생한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DNS 이슈에 대한 대응에 대한 정보도 찾아볼 수 있었어요.
Amazon Route53 레코드 관리
저는 주로 Amazon Route53에 서버에 대한 IP 주소 또는 별칭으로 A 레코드를 등록하고 이미 등록된 서버에 대해 별칭을 추가로 사용하기 위해서 CNAME 레코드를 등록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GoDaddy에서 구매한 kdev.ing 도메인에 대한 네임 서버로Amazon Route53을 등록하게 되면 1달러의 세금이 발생하므로 변경하지 않은 상태로 Github Pages 를 연결해서 사용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메일 보안을 위한 SPF, DKIM, DMARC
서버 엔지니어 혹은 인프라 팀이 별도로 존재하는 조직이 아니라면 개발자가 이메일 발송 시 신뢰할 수 있는 도메인을 설정하는 작업을 진행해야할 수 있어요. 마찬가지로 저는 작은 규모에 속한 주니어 개발자였기에 사내 메일 서버에서 Amazon SES를 통해 이메일을 보내기 위해서 DMARC, DKIM, SPF를 설정했었던 적이 있습니다. 만약, 이메일 보안을 위해서 DMARC를 적용하고자 한다면 아래와 같은 글들을 참고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 Setting up DMARC, SPF, DKIM with Amazon SES
- How To Setup SPF, DKIM, And DMARC In Your Amazon SES Account
인터넷 속도를 빠르게 하는 방법 😪
일반적으로 인터넷 속도를 빠르게 하는 방법을 찾아보면 DNS 설정을 변경하거나 DNS 캐시를 비우는 걸 추천하는데요. ISP 통신 사업자의 DNS 대신에 클라우드 플레어의 1.1.1.1로 변경하는 건 별 다른 의미가 없죠. 개발자 입장에서는 참고해야할 정보들이 해외 사이트에서 찾게되는 경우가 많은데, 저는 일부 HTTPS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니콘 HTTPS와 같은 DNS 변경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DNS 캐시 비우기
리눅스 서버에서는 캐시된 DNS 정보가 손상되거나 잘못된 경우로 확인된다면 DNS 정보를 즉시 갱신하기 위해서 DNS 캐시를 삭제하는 명령어를 찾아보니 resolvectl 또는 systemd-service 를 통해 DNS 캐시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 sudo systemd-service --flush-caches
sudo resolvectl flush-caches
# sudo systemd-resolve --statistics
sudo resolvectl statistics
Local DNS Resolver
대부분의 리눅스에서는 systemd-resolved 를 DNS Resolver로 사용하기 때문에 /etc/resolv.conf 에는 127.0.0.53 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DNS resolution 및 resolv.conf 에 대한 이해라는 글을 통해 DNS 리졸버에서 IP 주소를 쿼리하기 위해서 사용할 DNS 서버를 설정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AWS EC2는VPC의 게이트웨이(CIDR 대역에서 .2)를 DNS Resolver로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네요.
[ec2-user@tsdb ~]$ cat /etc/resolv.conf
nameserver 192.168.0.2
search ap-northeast-2.compute.internal
실무에서는 AWS 클라우드를 많이 활용하는 만큼 Amazon Route 53 Resolver에 대해서 좀 더 학습해봐야할 것 같습니다. 그동안 AWS 인프라를 활용해왔지만 VPC 내에서 어떻게 DNS 쿼리를 수행하고 관리하는지 생각해본적은 없었기 때문입니다.